귀농교육

농업인이 꼭 알아야 하는 농업관련 정부기관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마을 텃밭교육쉼터 교육부통령 2022. 6. 8. 12:00
반응형

농업관련 정부기관 중 확인해야 할 6개 기관에 대해 알아보자

농업관련 정부기관 중 가장 친숙한 기관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기관들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진흥청 소속의 많은 연구기관들과 함께 산하기관들과 시청이 연계하여 농업인을 지원하고 있다. 초보 농업인들이 문제에 봉착하게 되면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지, 어디로 문의를 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오늘은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필수기관 6개 싸이트는 지방농촌진흥기관 전체보기,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업교육포털, 농사로, 농지은행, 농업기술센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농업관련 정부기관 - 지방농촌진흥기관 전체보기

지방농촌진흥기관 전체보기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고 있다. 크게 농업기술원과 농업기술센터를 나누어지며, 전국적으로 169개의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가 연결되어 있다. 농업기술원 (전국 9개), 특·광역시 농업기술센터 (전국 12개), 경기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21개), 강원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18개), 충청북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12개), 충청남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15개), 전라북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15개), 전라남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21개), 경상북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24개), 경상남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18개), 제주도 농업기술센터 (전국 4개)

2. 농업관련 정부기관 - 귀농귀촌 종합센터

귀농귀촌 종합센터는 농업관련 정부기관 중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귀농귀촌상담, 교육정보 및 신청(오프라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 청년지원정책, 자료식, 알림소식, 방문동거(F-1) 외국인 계절근로 신청, 지자체관, 농촌에서 살아보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청장년 귀농귀촌 희망자가 농촌지역 실제 이주 전에 희망지역에서 최대 6개월간 미리 거주하며 농작업 등 영농을 체험할 수 있도록 임시 주거와 연수비(30만 원)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농촌에서 살아보기'로 신청할 수 있다. 절차 및 온오프라인 상담, 교육정보 및 신청 귀농귀촌 지원정책, 농촌에서 살아보기, 지자체 교육정보, 일자리 정보, 사회복지정책, 작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3. 농업관련 정부기관 - 농업교육포털

농업교육포털은 농업관련 정부기관 중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집합 교육(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과정), 동영상 교육(한 토막 강의, 정규과정, 참여형 화상 교육), 혼합 교육(집합 및 동영상 교육이 결합된 과정), 의무 교육('22년 공익직불제 농업인 온라인 교육, 친환경 농업 의무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

4. 농업관련 정부기관 -농사로

농사로는 농업관련 정부기관 중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토양정보, 농업기상정보, 병해충 정보, 농약안전정보, 농업경영정보, 농식품 정보, 농촌 인적자원 개발센터, 귀농귀촌 종합센터, 농업과학도서관, 농촌진흥기관 정보공유, 축사로, 씨앗은행, 농업기술 더하기나누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농업기술 동영상, 농업기상, 농산물 가격, 병해충 정보, 농약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5. 농업관련 정부기관 - 농지은행

농지은행은 농업관련 정부기관 중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영농규모 적정화, 농지의 효율적 이용, 농업구조개선, 농지시장의 안정 및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위해 농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사업을 추진하여 농업․농촌의 경제·사회적 발전 도모하고, 농지 구하기, 농지 내놓기, 농지연금과 사업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농지 임대수탁, 경영회생 농지매입, 농지연금, 맞춤형 농지지원 사업(공공임대용 농지매입, 농지매매, 임차임대())을 추진하고 있다.

6. 농업관련 정부기관 - 농업기술센터

농업기술센터는 농업관련 정부기관 중 시청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농업기술정보, 주간농사정보, 농사 일손 돕기, 농업 소식을 볼 수 있고, 도시농업, 귀농귀촌, 농업정보, 교육체험 등을 신청할 수 있다. 서울시민들은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를 꼭 방문해서 회원가입을 하고. 서울시 공공서비스로 예약해서 교육과 체험을 신청해보자. PC와 휴대폰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며, 지역시민을 위한 선착순 강의가 대부분이며 마감이 빠른 편이다. 타지역에서 신청할 경우도, 꼭 수강하고 싶다면 직접 전화문의를 해 볼 것을 권장한다. 관심있는 사업이 연간사업에 있다면 미리 일정을 확인해서 기본적인 교육에서부터 전문적인 배움까지 좋은 기회를 꼭 얻게 되길 바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