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교육

귀농귀촌 배경과 문제점 및 전문교육에 대해 알아보기

우리마을 텃밭교육쉼터 교육부통령 2022. 6. 9. 23:29
반응형

귀농귀촌 선호배경 문제점 3가지와 필요한 전문교육 알아보기

귀농귀촌을 선호하게 된 배경과 3가지 단계별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준비단계, 실행단계, 정착단계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귀농귀촌을 위한 전문교육이 필요하게 된 배경과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전문교육을 희망하는 초보 농업인들에게 농촌에 대한 이해와 농업기술센터의 소개, 전원생활의 이해, 기초 영농기술, 현장 체험, 귀농종합정보, 영농기술, 실습, 우수농가사례를 견학, 텃밭작물 재배를 통한 상시 영농실습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귀농귀촌을 선호하게 된 배경

귀농귀촌을 선호하게 된 배경은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의 은퇴 증가에 따라 관심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경제 생태계 변화로 인력조정 보편화와 소상공인 소득저하로 인한 폐업률 및 청년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고, COVID-19 비대면 문화의 고착화 및 비정상적인 사회현상, 삶의 가치관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농수산업, 농촌의 새로운 비전에 대한 의식변화로 도시민의 41.1%가 귀농, 귀산, 귀어촌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청년층, 여성 등 농어촌 성장 가능성을 인식하고 농촌형 사회적 일자리, 중장년층 주거공간을 고려하고 있다.

귀농귀촌 단계별 문제점 3가지

귀농귀촌 단계별로 3가지로 정리해 본다. 준비, 실행, 정착의 문제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귀농귀촌 준비단계의 문제점

준비단계의 문제점으로 5가지를 들 수 있었다. 첫째로 농업은 특별한 기술 없이 누구나 가능하다는 인식으로 무작정 정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로 무분별하게 교육을 희망하고 중도탈락 등으로 실제 귀농자의 질을 저하할 우려가 있다. 셋째로 가족 구성원과 우선 합의에 문제가 있다. 흔히 부부의 일치된 의견이 우선이다. 넷째로 소수의 한정된 인원만 가능하고 전문교육기관이 부족하다. 다섯째로 귀농하면 무상 지원한다는 등의 과도한 홍보에 마음을 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2. 귀농귀촌 실행단계의 문제점

실행단계의 문제점으로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필요한 최소한의 경제력 준비(농지, 주택, 농기계 구입 등)의 부족하다. 둘째로 자신에 맞작목의 선정이 곤란(영농규모, 구체적인 영농계획의 부재)하다. 셋째로 이론 위주의 교육으로 집중하여 이주 후에 전문기술 부족이 문제가 된다. 넷째로 최근 경제위기를 틈타 확고한 귀농할 의지가 없이 무분별한 교육을 신청하는 경향이 있다.

3. 귀농귀촌 정착단계의 문제점

정착단계의 문제점에는 5가지로 들 수 있었다. 첫째로 영농기술 및 경험 부족으로 생산성 하락, 생산된 농산물 판로에 어려움 발생으로 인한 소득의 감소가 있다. 둘째로 고된 작업과 휴일 없이 연속적으로 농업에 종사해야 한다. 셋째로 귀농을 지원하는 정책이기보다는 인구유입을 위한 지자체의 경쟁을 들 수 있다. 넷째로 지역주민과 정서순화 및 융화의 갈등의 문제가 있다. 다섯째로 사후관리의 미흡으로 농업을 경영하는 능력과 대처가 미흡하다.

필요한 전문교육

귀농귀촌에 필요한 전문교육은 귀농귀촌을 선호하는 배경과 단계별 문제점으로부터 사전에 파악하고,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귀농하기 전에 농업현장을 체험을 통해 경험하고 영농기술을 사전에 습득할 기회를 제공하여 도시민의 귀농 결심과 실행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귀농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정착까지 한 번에 해결하여 일자리 창출 및 가치 있는 삶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성공적인 농촌으로 정착하기 위하여 당면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농업기술지원센터와 정부관련 교육기관에서 전문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선배들의 실패사례와 문제들은 곧 후배들의 성공적인 창업전략에 큰 밑거름이 된다는 것이다. 귀농·귀산·귀어촌에 앞서 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을 잊지 말고, 배움의 기회를 갖게 되길 기대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