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교육

지구 온난화와 기후위기가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우리마을 텃밭교육쉼터 교육부통령 2022. 6. 17. 23:57
반응형

지구 온난화와 기후위기에 따라 미치는 농업생태계에 대한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지구 온난화와 기후위기, 기후변화는 기후관련 표현들의 용어 정리를 하고, 기후변화가 아닌 기후위기라는 표현이 적합한 것을 알리고, 지구 온난화의 의미에 대해 정리하고, 지구 온난화와 기후위기에 따라 미치는 농업생태계에 대한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기후관련 표현들의 용어 정리(기후변화와 기후위기 그리고 지구 온난화)

기후관련 표현들의 용어 정리가 필요하다. 기후변화, 기후위기, 지구 온난화에 대해 용어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후변화와 기후위기

기후변화는 기후가 달라지면서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기후변화라는 말을 하게 되었지만 이 표현에는 인위적이라는 점이 반영되지 않았다. 즉 이 말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서 발생한 문제가 빠진 용어이다. 기후가 달라지면서 변화가 생기게 된 것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라는 점을 부각한 표현이다.

지구 온난화의 의미

지구 온난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지구 온난화의 의미는 추운 날씨가 없어진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구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지구 온난화는 1957~8년 로저 레벨(Roger Revelle)이 인위적으로 이산화탄소가 자연 생태계에 흡수되지 않고 대기권에 축적되고 있다 라는 것을 발표했다. 1950년 후반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 쌓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것으로 인해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는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로 인해 지구가 뜨거워지는 과정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온실효과는 대기 중의 수증기, 이산화탄소, 오존 가스로 인해 지구 표면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가 대기를 빠져나가기 전에 흡수되어, 그 에너지가 대기에 남아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지구 온난화와 기후위기에 따라 미치는 농업생태계에 대한 영향

1960년대 이산화탄소가 쌓이면서 지구가 어떻게 바뀔까?라는 기후 연구가 활발하게 되었다. 온도가 오르니까, 빙하가 녹고, 그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할 것을 1960년대에 이미 기후위기를 알고 있었고, 1970년대 환경운동이 시작되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 걸쳐서 정치권에서 정책을 내고 대응하기 시작했으나 효력이 없었기 때문에(법적인 효력이 없었던 교토의정서) 수박 겉핡기식에 그쳤다. 오늘날 너무 늦어지고, 너무 급해졌고, 당장 행동해야만 한다. 새로운 생물종을 발견하는 것보다 멸종하는 속도가 사실은 빠르다.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그 이용으로부터 나오는 이익을 공정 분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엔환경계획(UNEP) 주관하에 정부가 협상회의를 개최, 1992년 5월 생물다양성 협약을 채택한 것이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이다. 이곳에서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하루에 150~200종이 없어진다고 한다. 이미 척추동물의 68%가 멸종이 되었고, 이 순간에도 멸종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지구 온난화와 기후위기의 심각함을 말해주는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농업생태계에 대한 영향은 대기 중 CO2 농도 증가에 따른 광합성 촉진, 증산 억제 등의 직접적인 영향과 농업기후자원, 수문상태의 변화에 따른 간접적인 영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작물 생장에 필수적이지만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식물에 긍정 및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칠 수 있다. 현재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광합성 포화점 이하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광호흡을 줄이고 광합성을 증대시켜 온도와 습도가 적정 범위에 있을 때는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작물 생장과 수량을 증대시킬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농업생태계에 대한 영향은 기후 변화가 농업기후 자원의 지리적 및 계절적 변화를 초래하여 농업기후지대의 변화, 이에 따른 작물 적응지역의 변화, 잡초, 병충해 등의 발생 종 및 발생량의 변화, 토양 비옥도의 변화, 가뭄 정도의 변화 등 농업생산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대기 중의 탄산가스 농도 증가와 온도의 상승은 작물의 광합성에 의한 물질 생산, 동화 물질의 각 기관으로의 배분, 발육 속도, 물의 이용효율 등에 영향하여 작물의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위기와 그 영향은 지리적 및 국지적으로 매우 다르게 나타나게 될 것이다.

 

현재 진행형인 지구 온난화와 이에 따른 기후위기의 주요인은 대기 중의 온실기체 증대에 의한 지구온실효과 증대인데, 매년 대기 중으로 인위적으로 방출되는 온실기체 총량의 약 12.5%를 농업분야에서 방출한다. 농업은 온실기체 집약적 산업이라 할 수 있고, 온실기체 중 N2, O 및 NH4 가스는 전 지구 방출량이 62% 및 40%를 농업분야에서 방출한다. 또한 온난화에 따라서 변화되는 물리적 환경 변화는 농업의 생산성과 생산 안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농업생태계로부터 온실기체 배출 감축을 위한 선택 사항들을 IPCC 4차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7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양분관리, 경운 및 잔사 관리, 물 관리 (관개, 배수), 논토양 관리, 임간 농업(agroforestry), 휴경지, 토지이용 변경 등을 포함하는 농경지 관리

둘째 방목 강도, 생산성 증대, 양분관리, 초종 도입 등을 포함하는 방목지 및 초지 관리

셋째 습지 배수 지양을 포함하는 유기 토양 관리

넷째 침식 방지, 유기물 개선, 양분 개선 등을 포함하는 퇴화된 토양 복원

다섯째 사양관리 개선, 사료첨가제, 장기적인 구조 및 관리 개선, 가축 개량 등을 포함하는 가축 관리

여섯째 취급 및 저장 방법 개선, 호기적 분해, 영양원으로서의 효율적 이용 등을 포함하는 퇴구비 관리

일곱째 에너지 작물(고체, 액체, 바이오가스 및 전사)을 포함한 바이오에너지

 

식량 생산, 기후변화 적응, 기후변화 완화라는 세 가지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농업 기술체계들 간의 상승(synergy) 및 상쇄(trade-off) 효과 사이에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이 세 목표 중 어디에 우선을 두어야 하는가는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중요한 과제이고 식량안보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에 비추어 선택되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