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콩재배의 필요성과 GMO가 소득현황에 미치는 영향과 기본정보에 대해 알아보자
국산 콩재배의 필요성과 소득현황의 데이터로부터 국내 콩의 소비량에 비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020년 우리나라 기준 곡물자급률은 20.2%, 식량자급률은 45.8%이며, 콩 자급률 제고 등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노력 중이며, 2025년 자급목표는 콩 33%이다. 국산 콩재배의 기본정보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국산 콩재배의 필요성과 GMO
국산 콩재배의 필요성과 GMO를 반대하는 이유는 같다. 콩의 소비량이 많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국제 곡물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한국의 곡물자급률이 20% 밑으로 떨어지면서 식량안보의 안전판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 의존 절대적인 콩은 구체적인 비축 목표조차 없고 자급률이 올라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정부는 국산 콩 중심으로 자급률 제고를 위해 2020년부터 국산 콩 전문 생산단지를 육성하고 지원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국산 콩 소비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0년 895억 원의 예산에서 2022년 1,672억 원의 예산으로 중장기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한 해 식용으로 수입된 콩은 전체 21%인 218만563톤으로, 콩이 전체 GMO 수입 물량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콩은 쌀과 함께 우리 밥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필수 식량작물이지만, 소비자는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콩을 믿고 먹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국산 콩재배의 필요성과 GMO는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유전자조작이란 어떤 것을 말하며, 왜 반대하는지에 대해 제대로 알고 소비자의 생각의 전환과 국산 콩의 자급률 향상이 절실히 촉구된다.
수입산 콩 대부분이 GMO 왜 반대하는가?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변형작물)란 한 종으로부터 유전자를 얻은 후에 이를 다른 종에 삽입하는 것으로 1953년 세포 속의 DNA 구조가 밝혀지고, 1970년대 이후 DNA를 자라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시작되었다. 이 같은 기술을 이용해 과학적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생명체를 유전자조작생물체라고 부르며 유전자조작이 벼, 감자, 옥수수, 콩 등 농작물에 행해지면 유전자조작농산물, 이 농산물을 가공하면 유전자조작식품이라고 말한다.
생태계 내에 존재하는 생물 간에는 교배가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종과 종간의 벽'이 있다. 종(種)이란 생물의 기본단위로 개체 사이에서 교배가 가능한 생물의 무리를 말하지만 유전자변형작물은 생태계의 기본질서인 이러한 종간의 벽을 뛰어넘어 교배가 불가능한 다른 생물의 유전자를 공학적 기술을 이용해 생물의 유전정보를 인공적으로 개조하는 방법이다. 이는 식물의 유전자를 동물에 도입할 수도, 동물의 유전자를 식품에 주입할 수도 있게 되는 기술로 삽입된 유전자는 현존하는 생물에는 없었던 새로운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의 진화과정을 파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GMO 왜 반대하는가, 다음의 5가지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우리 몸에 해롭다 : 유전자변형작물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크게 3가지로 알레르기 유발, 독소 발생, 항생물질 내성 증대 등 의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식품의 알레르기는 식품의 특정성분이 체내의 면역계와 반응해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이다. 이때까지 알려진 식품 알레르기 원인물질은 대부분 단백질이며, 유전자변형작물 식품에는 유전자 삽입으로 새로 만들어지는 물질이 단백질이라는 점에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또 도입된 유전자가 원래 그 종에 없는 새로운 성분을 만들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생산되는 물질이 예상치 못한 독성을 나타낼 가능성도 있다.
2. 환경을 더욱 파괴한다 : 해충 및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조작이 갖고 있는 저항성 유전자는 쉽게 생태계 속으로 전이되며, 해충과 잡초들이 저항성 유전자를 가지게 됨으로써 슈퍼잡초, 슈퍼해충이 탄생하고, 돌연변이 출현으로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 생물 다양성이 파괴되고 획일화됨으로써 자연생태계의 순환구조를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3. 유기농업을 불가능하게 한다 : 유전자 조작은 자연생태계의 순환에 의존하는 유기농업에 심각한 폐해를 준다. 유기농업은 재배하는 환경의 청정함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인데, 유전자 조작이 재배되는 반경 수십 km 내에서는 유전자가 전이되는 결과가 확인되고 있어, 유기 농산물이 재배되더라도 GMO와 섞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영국의 환경부 장관은 최근 유전자 변형작물 완충지대의 거리가 얼마나 되어도 꽃가루의 오염은 피할 수 없다고 시인하기도 했고, 뿐만 아니라 유전자 변형작물 유전자로 오염된 땅에는 그 영향이 오래가기 때문에 다른 작물을 심을 수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처럼 땅이 좁은 나라에서는 자칫 유기농업 전체를 포기해야 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4. 다국적 기업과 선진국의 농업 및 식량 독점이 가속화된다 : 다국적 기업들은 농약과 화학비료의 개발로 이루어낸 식량증대, 즉, 녹색혁명이 토양 침식, 생물다양성 파괴, 농약 오염 등의 환경 문제 등으로 한계에 부딪히자 생명공학 기술이라는 신기술로 GMO를 선택하여 새로운 이윤창출을 꾀하고 있다. 이들은 생명공학과 유전자 변형작물을 매개로 종자, 농화학, 제약, 식품, 곡물 유통, 동물약품 분야를 하나의 기업으로, 또는 제휴의 형식으로 수직 통합하여 독점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5. 도덕적, 윤리적 문제들 : 모든 사물에 특허를 붙여온 인간이 이제는 생명에까지 특허권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GMO는 한 생명체에서 몇 개 안 되는 유전자를 조작해 완전히 다른 생명체로써 특허권을 인정받고 있다. 이는 그동안 농민들의 공동 자산이었던 종자조차 점점 더 기업이나 개인에 의해 사유화되고 독점화시키고 있다. 종자는 식량의 원인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전 인류의 재산으로 지켜내어야 한다.
국산 콩재배의 소득현황
국산 콩재배의 소득현황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국산 콩재배 농가가 많지 않고, 한국의 곡물 자급률이 20% 밑으로 떨어지면서 국산 콩재배의 육성과 지원이 확대될 것이 예상된다. 밭작물인 논벼, 겉보리, 쌀보리, 풋옥수수, 고구마, 봄감자, 참깨의 수량(kg), 조수익, 경영비, 소득, 소득률의 현황을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낸 것이다. 국산 콩재배의 필요성이 시급하고 농가가 많지 않기 때문에 국산 콩재배의 소득 율도 밭작물의 작물 중 가장 높은 73.9%로 나타나고 있다.
표 1. 국산 콩재배와 밭작물의 소득현황
작물 | 수량(kg) | 조수익 | 경영비 | 소득 | 소득율 |
콩 | 187 | 807 | 244 | 563 | 73.9% |
논벼 | 520 | 1,058 | 443 | 615 | 58.1% |
겉보리 | 476 | 587 | 232 | 356 | 60.6 |
쌀보리 | 430 | 504 | 232 | 271 | 53.9% |
풋옥수수 | 3,259개 | 1,527 | 534 | 993 | 65.0% |
고구마 | 1,672 | 2,730 | 1,036 | 1,694 | 62.0% |
봄감자 | 2,445 | 1,860 | 948 | 912 | 49.0% |
참깨 | 71 | 1,306 | 435 | 871 | 66.7% |
용어: 조수익은 농가에서 1년간 농업 경영의 성과로 얻은 농산물과 부산물의 전체 가액을 말한다.
국산 콩재배의 기본정보
국산 콩의 분류, 학명, 원산지, 분포, 이용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콩(대두, soybean)은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콩속으로 분류되며, Glyclne max (L.) Merrill의 학명을 가지고 있고, 원산지는 동북아시아이며,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두부, 장류, 콩나물, 풋콩, 식용유로 이용되고 있다. 콩의 특징으로는 단백질 함량 40%, 기름 20%이며, 비료 저투입 환경보전형 작물이다. 단일성 식물(10시간 일장조건 30~35일후 개화)이며, 어떤 토양에서도 비교적 잘 적응하며 pH는 6.5이다. 4월에서 7월 상순까지 파종이 가능하며, 파종적기는 6월 상중순이다.
'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기자 소개 생육과정 예상되는 문제점 주요기술 음용법 알아보기 (0) | 2022.06.21 |
---|---|
재배 토양에 대해 배워보자 (0) | 2022.06.19 |
아스파라거스 소개, 함유성분과 재배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13 |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12 |
채소재배의 필수조건 6가지에 대해 배워보자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