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술

아스파라거스 소개, 함유성분과 재배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마을 텃밭교육쉼터 교육부통령 2022. 6. 13. 23:18
반응형

아스파라거스의 소개를 하고, 함유성분과 재배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아스파라거스의 소개를 하고, 함유성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유익한 영양소가 너무 많은 영양 덩어리이며 색깔에 따라 그린, 화이트, 퍼플의 3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린과 화이트 아스파라거스의 재배기술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아스파라거스의 소개

아스파라거스의 소개를 하자면 백합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봄에 죽순처럼 올라오는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는 서양채소이다. 주로 샐러드나 스프로 이용하며, 육류와 함께 볶거나 굽는 요리로도 인기가 매우 높다. 아스파라거스에는 비타민, 아미노산과 단백질이 풍부하고, 특히 아스파라긴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및 숙취해소에 매우 뛰어나다. 숙취 해소를 돕는 성분인 아스파라긴산 함량은 콩나물의 5~10배가량 높게 함유하고 있고, 비타민 C. B1, B2, 칼슘, 인,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고 루틴과 사포닌 성분이 들어 있어서 항암과 항산화 효과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스파라거스의 소개를 하자면 첫째로 서늘한 기후에서 수명이 길고 재배도 쉬우면, 우리나라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둘째로 휴면 중인 지하경은 내한성이 강해서 저온에 잘 견딘다. 어린순은 5℃ 정도에서 움이 트기 시작하나 순의 신장에는 1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셋째로 토양 적응성은 넓은 편이지만 토양수분에 민감하여 지하수위가 낮아야 한다. 넷째로 경제적 수명은 10~15년 정도이며 이후 갱신한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을 알아보자

아스파라거스는 유익한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식품이다. 아스파라거스 180g에 포함된 영양소와 일일 권장 섭취량에 대한 백분률을 나타낸 것이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은 다음과 같다. 비타민K(80%), 비타민 C(73%), 엽산(61%), 비타민 A(29%),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11%), 비타민 E(11%), 비타민 B3 니아신(9%), 비타민 B1 티아민(8%), 판토텐산(3%), 비타민 B6(2%), 미네랄은 망간(13%), 셀레늄(10%), 인(9%), 칼륨(9%), 구리(9%), 철분(6%), 아연(5%), 마그네슘(4%), 칼슘(3%)이 있고, 그 외에 식이섬유(12%), 단백질(11%), 사포닌, 글루타치온, 안토시아닌, 루테인, 루틴 등 항산화 성분이 있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 중 첫째는 항암물질인 사포닌이 뿌리에 있다. 그렇다면 사포닌은 체내에서 LDL(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HDL(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높여주기 때문에,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뇌졸중, 심장질환 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면역력을 높여주고, 항암효과가 있으며, 당뇨에 도움을 준다. 피부건강에 효능이 있고,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 중 둘째는 루틴이다. 요산 배설물 촉진으로 통풍, 신경통, 류마티즘에 효과가 있으면 이뇨작용에 도움을 주며, 혈압 강하제 역할을 한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 중 셋째는 아스파라긴산은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 중 넷째는 비타민 E가 풍부하여, 아침식사 대용으로도 손색이 없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 중 다섯째는 프로토다이오신의 성분이 있어서 성적 흥분 증가와 남자의 직립 개선, 혈액순환을 잘하게 해 준다. 아스파라거스의 함유성분 중 여섯째는 콜레스테롤 분해 및 억제 작용을 한다. 이처럼 아스파라거스는 사포닌과 루틴이 가득한 영양 덩어리이다.

 

아스파라거스의 재배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지상부의 경엽 즉 지상경과 지하부의 지하경 및 저장근으로 구분한다. 지상경은 보통 줄기라 부르며 어린줄기는 식용이 가능하다. 아스파라거스는 암수가 딴 그루로 성비는 거의 1:1로 성장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숫그루 비율이 약간 높은 편이다. 아스파라거스 암그루는 초장이 길고, 줄기가 굵으며, 줄기수가 적으며, 아스파라거스 숫그루는 초장이 짧고, 줄기수가 많으며, 생장속도가 빨라 수량이 20~30% 많다. 그렇기 때문에 숫그루를 선별하여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린 아스파라거스,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퍼플 아스파라거스가 있는데, 아시아에서는 그린 아스파라거스를 먹는 반면, 서양에서는 당도와 식감이 사포닌 함량이 높은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를 즐긴다.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는 움이 트기 전에 흙을 덮거나 차광막을 덮어 어린 순을 재배하면 되는데, 재배와 수확에 노동력이 많이 들어 면적이 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린아스파라거스에 비해 단가가 높고 틈새 소득작물로 각광받고 있는 만큼 재배 여력이 있는 농가라면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재배를 적극 추천한다.

 

아스파라거스의 재배 기술은 첫째로 다년생 식물로 한번 정식하면 10년 이상 재배하게 되기 때문에 포장 선정에 유의해야 하며, 정식 구덩이를 깊이 파고 유기물을 충분히 넣어야 한다. 둘째로 수확기간을 준수하며 무리하게 수확기간을 길게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로 비가림 재배에서 증수효과가 크며, 노지재배는 병이 빨리 오고 품질이 떨어진다. 넷째로 웃거름은 수확 전과 수확 도중에 주기적으로 실시하며 특히 봄 수확 후부터 경엽의 황변기까지 비절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다섯째로 수확 후 과번무 되지 않도록 줄기 수를 적당히 제한하여 재배해야 한다.

 

표 2. 아스파라거스 재배 기술의 종류에 따른 구분과 설명 및 수확시기

재배기술의 종류 구분 설명 및 수확시기
그린재배
(세계적인 추세, 국내소비의 대부분)
노지재배 자연생육 사이클을 이용한 기본작형으로 5~6월 수확
반촉성재배 봄에 하우스나 터널 피복으로 지온과 기온을 높여 움이 트는 것을 촉진시키는 작형으로 노지보다 2~3개월 빨리 수확이 가능
촉성재배 밭에서 2~3년간 키운 포기를 가을에 캐 하우스에 밀식해 가온재배로 정식 후 35~40일부터 수확 가능
억제재배 노지재배나 반촉성 재배의 봄 수확이 끝난 다음줄기를 키워 8~10월 나오는 순을 수확
화이트재배 그린재배에 준하며, 재식거리를 넓게하고 움이 트기전에 배토해 어린순을 연백시키는 재배하는 점이 다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