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술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마을 텃밭교육쉼터 교육부통령 2022. 6. 12. 23:41
반응형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 거름주기와 과일솎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자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인 수분수(授粉樹, Pollinizer) 심기(인공수분(人工受粉, artificial pollination)), 봉지 씌우기, 농약 뿌리기, 정지전정, 초심자가 알아야 할 사항, 좋은 묘목 고르기에 대해 알아보고, 거름주기 방법(종류 및 양), 과일솎기 방법에 대해서도 정리하고자 한다. 이 내용은 특히 초보자가 알아야 할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이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 6가지 알아보기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에는 수분수 심기 (인공수분), 봉지 씌우기, 농약 뿌리기, 정지전정, 초심자가 알아야 할 사항, 좋은 묘목을 고르기, 이렇게 6가지가 있다.

1. 수분수 심기 (인공수분)

수분수(授粉樹, Pollinizer)란 과수에서 결실을 위하여 꽃가루를 주는 나무를 말하고, 대부분의 과수는 자가불화합성으로 수분수가 필요하며, 유일하게 포도는 자가화합성으로 수분수가 필요 없다. 수분수 심기는 인공수분이라고도 말하며,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인 수분수 심기가 꼭 필요한 것은 사과, 배, 감, 복수아, 매실이다. 수분수를 심어 주면 좋은 것은 감귤류(일부)이다. 또한 수분수가 없어도 괜찮은 것은 무화과, 포도, 비파이다. 수분수의 구비 조건은 주 품종과 화합성이 커야 하고, 개화기가 일치해야 하며, 꽃가루 량이 많고, 수분수 과실도 상품성이 있어야 한다.

2. 봉지 씌우기

봉지 씌우기를 하는 이유는 병해충 피해를 줄이고 과실착색을 좋게 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과종에 따라서는 동록 방지(사과), 농약살포에 의한 오염과 방지(포도)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인 봉지 씌우기가 필요한 것은 복숭아. 배, 포도(품종에 따라 다름)이며, 봉지 씌우기가 필요하지 않은 것은 사과, 감, 무화과, 감귤류, 매실이 해당된다.

3. 농약 뿌리기

농약 뿌리기가 반드시 필요한 것, 약간 필요한 것, 필요하지 않은 것이 있다.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인 농약뿌리기는 사과와 배에는 반드시 필요하며, 약간 필요한 것은 복숭아, 포도, 감귤류, 매실이며, 거의 필요없는 것은 무화과, 밤, 비파이다.

4. 정지전정

정지전정이란 충해를 예방하거나 조경수의 건전한 발육과 아름다운 수형을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가지를 잘라주는 것을 말한다. 정지작업은 줄기와 가지의 생장을 조정하기 위한 가지치기이다.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인 전정작업은 정지를 하기 위하여 나무의 가지나 줄기 및 잎의 일부를 잘라내는 작업이다.또한 전지전정의 목적은 불량가지를 잘라내고 혼잡한 가지정리를 하여 열매가 달릴 가지를 솎아내서 열매의 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정지정전이 쉬운 것은 무화과와 포도이며, 배, 매실, 복숭아, 감, 감귤류는 보통이며, 사과는 약간 어렵다.

5. 초심자가 알아야 할 사항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인 초심자가 알아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과수재배를 위해서는 양지바른 장소, 물 빠짐이 좋은 토질, 수분수가 필요하며, 과실은 반드시 솎아주고, 가지치기를 하며, 농약에 대한 지식을 익혀야 한다는 점이다.

6. 좋은 묘목 고르기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인 좋은 묘목 고르기를 하려면 품종이 명확해야 하며, 잔뿌리가 많은 것, 가지의 굵기가 중간 정도인 것, 눈과 눈 사이가 짧은 것, 접목부위가 매끄러운 것, 가지나 뿌리가 잘 생긴 것, 병충해가 없는 것을 골라야 한다. 성목을 심어도 된다.

과수재배의 거름주기 방법을 정리해보자

거름주기 방법에는 밑거름과 웃거름이 있다. 밑거름을 주는 시기는 낙엽기와 휴면기 사이, 낙엽 직후에서 땅이 얼기 전까지 주는 것이 좋다. 주는 양은 연간 총 시비량 중 질소 50~70%, 인산 100%, 칼리 50~60%이다. 웃거름은 생육기간 중에 부족한 비료성분을 보충해 주어 꽃눈분화, 과실비대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시용하며, 5월 하순에 질소는 연간 시용량의 10~20%, 칼리는 40~50%이다.

 

한 구덩이에 거름 주는 양은 과일과 비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사과, 배, 복숭아는 완숙퇴비, 거친퇴비(볏짚), 용성인비, 고토석회, 붕사를 각각 10kg, 20kg, 1kg, 4kg, 20g을 한 구덩이 당 거름으로 준다. 포도의 경우는 완숙퇴비, 거친퇴비(볏짚), 용성인비, 고토석회, 붕사를 각각 10kg, 15kg, 0.5kg, 3kg, 20g을 한 구덩이 당 거름으로 준다.

과수재배의 과일솎기 방법을 정리해보자

과일솎기는 적과라고도 부른다. 과종에 따른 적과정도는 어느 정도가 좋은지, 적과시기는 언제가 좋은지를 표 1에 정리한 것이다.

 

표 1. 과종에 따른 적과정도와 적과시기

구분 적과정도 적과시기
사과 40~50잎 당 1과 만개 3~4주
25~30잎 당 1과 1회: 5월상, 중순, 2회: 6월상, 중순
복숭아 20~30잎 당 1과 1회: 만개3주 후 2회 만개 30일 후
포도 거봉: 열매가 1가지당 1송이
캠벨얼리: 1~2송이
델라웨어: 2~3송이
결실안정 후 2~3회 나누어
감나무 적과: 1열매가지당 1~2과
(20~25일당 1과)
6월상~7월 중순경(생리적낙과 후)
살구 적뢰: 전체의 50% 정도
적과: 꽃덩이가지당 2~5과
적뢰: 꽃피기 전
적과: 만개후 30일까지 완료
자두 단과지 6~10cm당 1과 만개 후 50~60일까지 완료
매실 5~10잎 당 1과 수확 50일전 실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