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쿠아포닉스의 정의와 원리, 장점과 단점, 양식법의 비교에 대해 알아보자.
아쿠아포닉스의 정의와 장점, 원리, 그리고 식량난을 해결해주면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는 어류양식법을 3가지, 즉 수경재배, 순환여과식 양식법, 바이오플락(BFT) 아쿠아포닉스를 비교하여 알아보자.
아쿠아포닉스의 정의와 원리
아쿠아포닉스의 정의는 물고기양식(Aquaculture)과 수경재배(Hydroponics)를 합친 말로 물고기 분비물을 이용하여 식물을 키우는 수경재배 형식의 지속 가능한 대표적인 친환경 농법 중 하나이다. 아쿠아포닉스의 원리는 양어 수조에서 물고기를 키우고, 박테리아는 어류 양식 과정에서 질산화작용을 하여 발생하는 암모니아와 아질산을 질산염으로 전환된다.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질산염과 같은 영양분을 식물이 뿌리로 흡수를 하고, 식물의 영양분 흡수과정을 통해 정화된 물을 다시 양어 수조로 되돌아가서 어류 양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아쿠아포닉스의 장점
아쿠아포닉스의 장점은 첫째 식물과 미생물은 물고기가 사는 물을 정화하여 90%이상 물 절약이 가능하다. 둘째 식물은 물고기의 배설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화학 비료의 추가적인 투입이 필요 없어서 물고기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셋째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물고기로부터 충분히 제공받고 있기 때문에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물고기를 식물 재배기간 동안 동시 사육하므로 농약이나 항생제의 사용 없이 환경 친화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안심 먹거리 제공이 가능하다.
다섯째 수상생물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메스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이를 식물이 성장 에너지로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최신 농업기술이라는 것이다.
아쿠아포닉스의 단점
아쿠아포닉스의 단점은 첫째 수조, 펌프 등 여러 장비가 필요해 초기 설치 비용이 높은 편이고, 둘째 물고기 사료비, 추가 양분 공급비 등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도 적지 않다. 셋째 물순환을 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전기 공급이 필요하고 대규모 양식장에는 전력 사고 위험 방지를 위해 추가로 발전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되는 비용일 수 있다. 넷째 아직 국내에서는 시작한 지 얼마 안 돼서 아직은 한정적인 양식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섯째 성공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식물과 물고기에 대한 지식과 함께 생장을 위한 온도, 양분 등 환경조건에 대한 전문지식도 배워두어야 한다.
아쿠아포닉스 양식법 비교
아쿠아포닉스 어류양식법의 비교는 아래 표 1과 같이 수경재배, 기존의 아쿠아포닉스(순환여과식 양식법), 바이오플락 아쿠아포닉스 양식법에 따른 생산물, 구조, 양식방법, 배출수, 영양분, 영양염류와 장점에 대해 정리하였다. 앞으로도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식량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고 실용화될 것을 기대해본다.
표 1. 수경재배, 순환여과식 양식법과 BFT 아크아포닉스의 양식법 비교
아크아포닉스 양식법 비교 |
수경재배 | 기존 아쿠아포닉스 =순환여과식 양식법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BFT 아크아포닉스 (BFT, Biofloc Technology, Aquaponics) |
생산물 | 농작물 | 물고기 + 농작물 | 물고기 + 농작물 |
구조 | 수경재배베드 | 사육수조, 수경재배베드, 여과시스템 | 사육수조, 수경재배베드 |
양식방법 | - | 순환여과식 | 바이오 플락양식 |
배출수 | 소진된 양액 배출 | 사육수 및 슬러지 배출 | 배출수 없음 |
영양분 | 인공영양분 (양액) | 사육수, 추가영양분(양액) | BFT 사육수 |
영양염류 | 0.5 ~ 8 | 0.5 ~ 1 | 0.5 ~ 4.5 |
장점 | - | - | 3無 무항생제, 무농약, 무배출수 |
'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산 콩재배의 필요성과 GMO 소득현황 및 기본정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14 |
---|---|
아스파라거스 소개, 함유성분과 재배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13 |
과수재배 관리의 핵심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12 |
채소재배의 필수조건 6가지에 대해 배워보자 (0) | 2022.06.11 |
수경재배 역사 기술의 장단점에 대해 공부해보자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