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화재배 생육환경 결핍 대처 특징 관리 비교를 통해 학습해보자.
절화재배 생육환경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절화 재배 시 영양 결핍 시 대처법에 대해 공부하고, 촉성재배와 억제재배의 특징과 장단점에 관해 배워본다. 절화재배 생육환경 초형관리로 적심과 전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적심 시기 및 방법, 적심과 무적심 재배의 차이에 대해 공부한다. 온실 구조 형식을 알아보고 연동형과 단동형의 특징을 비교해본다.
절화재배 생육환경 영양 결핍 시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자.
영양 결핍 시 생기는 대표적인 증상은 잎이 연녹색이 되고 꽃이 작아지며, 마디가 짧아지고 잎이 쪼그라지며, 잎이 황변, 황화, 고사하게 된다. 또한 영양 결핍 시 대처 방법은 각 양분의 특성에 맞게 추가해 물 20L(한 말) 기준으로 희석해 살포하면 된다. 표 1은 각 양분 결핍 시 생기는 증상과 대처방법을 정리한 것이다.
표 1. 영양 결핍 시 생기는 증상과 대처방법
양분 | 결핍 시 증상 | 대처방법 (물 20L(한 말) 기준으로) | ||
질소 | 잎이 연녹색이 되고, 꽃이 작아지며, 진 푸른색이 없어진다. | 소독할 때나 또한 엽면시비로, 약 1컵의 질소 소량을 희석한 후 살포한다. 바로 2~3일이면 대처가 된다. | ||
인산 | 잎이 작아지고, 대가 가늘어지고, 어린 묘에서 뿌리가 활착을 잘 못하게 된다. | 인산을 약 20g정도 넣고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칼리 | 국화가 잘 자라지 않고, 마디가 짧아지고, 잎이 쪼그라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 칼리를 약 10g 정도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칼슘 | 줄기가 매우 약하고, 순이 자라지 못해 고사하는 것도 있다. 잎이 황화되어 변하게 된다. | 염화칼슘을 약 10~20g 정도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마그네슘 | 국화가 연녹색이어야 되는데 잎이 노랗게 황변, 자라지 못하고 고사하게 된다. | 유산 마그네슘 약 10g 정도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철 | 잎이 황화되고, 잎끝이 갈변하여 거멓게 변한다. | 유산제 철 약 5g 정도를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망간 | 잎이 노래지다가 하얗게 되면 검은 반점이 생긴다. | 망간 약 5g이나 생석회 약 5g 정도를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아연 | 이파리가 작고 줄기가 잘 자라지 않으며 이파리 면이 위로 말리게 된다. | 아연 5g 혹은 생석회 약 5g 정도를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동 | 특히 국화에는 많이 생긴다. 이파리가 노래지고, 안으로 감기며 또한 꽃망울이 생기지도 않고 잎의 순이 죽을 수도 있다. | 유산 동이나 또한 생석회 5g 정도를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붕소 | 잎이 아주 작고, 잎이 노랗게 되며, 고사할 수도 있다. | 붕소를 토양에 살포하거나, 붕소 약 3g 정도를 희석한 후 살포한다. | ||
몰리브덴 | 순이 노랗게 갈변하고 묵은 잎은 빨갛게 변한다. | 석회로 중화시킨 몰리비덴을 약 1~2g 정도를 희석한 후 살포한다. |
절화재배 생육환경 촉성 억제 특징과 장단점을 공부해보자.
절화재배 생육환경을 알기 위해 촉성, 억제 재배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자연재배에서는 1년에 한 번 키울 수 있지만 촉성재배의 특징은 시설 하우스 내에서 1년 내내 생산할 수 있고, 하우스 내에 모든 시설과 온도, 빛, 물, 영양분이 갖추어질 때 촉성재배가 가능하다. 온도는 약 국화는 16도 이상 24도 미만이 최고 적정선이고, 국화는 단일 품종이기 때문에 빛을 조절해서 꽃을 피우도록 조절하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많이 하면 약 3작이나 4작도 가능하기 때문에 잘 조절하면 1년 내내 생산 가능한 것이다.
촉성재배의 장점은 1년 내내 생산하며 적정산 시기에 인위적으로 맞춰 수확할 수 있다는 것이며, 단점은 1년 내내 생산을 하다 보니 토양이 망가질 수도 있으니 토양에 신경을 잘 써서 거름이나 소독, 약품을 처리하여 잘 관리해야 한다. 소독에는 증시 소독과 약품 소독이 있는데 약품 소득은 간단한 반면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증기 소독은 비용이 너무 비싸서 힘들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선호하는 소독은 태양열 소독과 또한 약품 소독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촉성 재배 시 주의할 점은 하절기 고온 때에 조심하면 된다.
하절기에는 낮에 시설 내 기온이 약 25~35도 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그때 차광막을 지나가, 물을 살포하여 온도를 낮추거나 그때 차광막을 치거나, 물을 살포하여 온도를 낮추거나 약 25도 미만으로 해주면 가장 좋다. 억제재배의 특징을 알아보면, 억제재배란 약품을 처리하여 좀 늦게 재배하는 것이며, 광을 차단하거나 광을 많이 줄 수 있어서 출하시기를 늦추거나 과잉 출하 시 사용한다. 억제재배의 단점은 차광하여 꽃 색깔이 변하거나 잎이 약해지므로 웃자랄 수도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절화재배 생육환경 초형관리를 알아보자.
절화재배 생육환경을 알기 위해 전정 및 적심에 관해 알아보자. 전정은 순을 쳐주는 것, 적심(decapitated stems)을 하다, 초목의 곁순을 잘라 내는 일을 의미한다. 적심은 어떻게 순을 쳐서 한 가지에 꽃을 많이 달리게 유도할 수도 있고, 모종을 만들기 위해서 적심을 해서 여러 가지 순을 올라오게 해서 적심을 해서 여러 가지 순을 올라오게 해서 그 삽수를 채취하기 위해서 적심을 하는 부분도 있다. 또한 무적심 재배는 절하를 상품으로 가르고자 할 때 무적심 재배는 절하를 상품으로 기르고자 할 때 한 송이로 쭉 기를 수 있는 상품 값어치가 아주 좋을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적심 재배할 때 적심 재배는 한 가지에서 여러 가지가 키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영양소 문제로 좀 약해질 수도 있다. 노지 재배 시는 적심재배를 해도 괜찮다. 하지만 세력이 약한 품종은 좋지 않으니 영양소 불균형, 세력이 약해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력이 좋은 국화 품종을 찾아서 적심 재배를 하는 것도 괜찮다. 가지치기는 국화의 일부를 자르고 다듬는 일을 말하며, 정식 후 7일 정도 지나면 가지치기를 진행한다. 또한 순 작업은 화분에서 기를 수 있는 국화는 여러 번의 적심을 하는 작업이다.
전정을 하는 이유는 가지치기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자르고 없애주는 부분이고 또한 보시게 되면 2~3개의 건강한 순이 올라오도록 나머지 부분을 제거해 준다. 가지치기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자르거나 건강한 순을 올라오게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전정이라 하기도 하고, 가지를 제거한다고 하여 순 작업이라고 한다. 가지치기는 정식하고 7일 후에 그때부터 뿌리가 내리고 그 이후에 가지치기를 하고 있다. 전정할 때 주의점 잎이 은 다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잎이 3~4개 정도 일 때 전정하는 것이 좋다. 적심 시기는 정식하고 약 7일 정도 후에 하며 정전 작업도 함께 병행해야 된다.
적심과 무적심의 차이를 알아보자. 적심은 한 가지에서 여러 가지 순을 키워서 꽃을 2~3송이 자라게 유도하는 것이고, 무적심 재배는 한 가지에서 꽃 한 송이만 기를 수 있게 영양을 한 송이가 다 섭취하고 건강하고 좋은 상품을 만들고자 할 때 하는 재배이다. 적심을 할 때 자르는 방법은 보통 세 가지에서 4잎, 반드시 3~4잎까지 놔두고 순을 자른다. 적심 작업 시 주의할 점은 묘가 뽑히지 않도록 가위를 사용하고 순이 연할 때 작업하는 것이 좋다.
절화재배 생육환경 온실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절화재배 생육환경 중 온실 구조 형식은 단독형과 연동형이 있다. 단동형은 한 채만 시공한 독립 형태이며, 연동형은 여러 채 연결하여 내부 칸막이를 제거한 것을 말한다. 연동형의 특징은 환경 조절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어서 모든 것을 자동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자동화 시스템으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특히 연동형은 스마트팜 농사로 휴대폰과 연동하여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으나 워낙 넓어서 환기가 잘되지 않는 단점도 있다.
단동형은 협소하고 수동으로 사용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하절기에 창문을 양쪽으로 다 열고, 위에도 열면 환기가 잘 되어 여름철에는 아무래도 상품 값어치가 좋게 나올 수 있다. 단동형은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려면 시설비가 많이 들지만 규모가 작아 비용이 적게 든다. 네덜란드 벤로 지역의 명칭을 따서 명명된 온실로 1990년 대 후반부터 우리나라에 보급된 벤로형이나 유리 하우스의 형이 있다. 벤로형은 특히 선인장 종류나 광이 많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며, 유리 하우스 사용 시 사계절 태양이 강해서 작물의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유리 위에 차광제를 뿌리거나 차광막을 사용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절화재배 생육환경을 절화 재배 시 영양 결핍 시 대처법, 촉성재배와 억제재배의 특징과 장단점, 적심과 전정, 적심 시기 및 방법, 적심과 무적심 재배의 차이 등을 초형관리, 연동형과 단동형의 온실구조의 특징과 주의해야 할 점들을 공부했다. 절화(국화)재배를 스마트팜으로 고려하고 계신 분들, 귀농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고려해야 할 부분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염료 7가지 장점 천연염색에 대해 탐구해보자 (0) | 2022.07.19 |
---|---|
종자산업법 토종종자 개발 현주소와 대책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18 |
스마트팜 기초교육 양수분 관리를 배워보자 (0) | 2022.07.16 |
공주시 귀농귀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28 |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교육 유용한 농업정보 알아보자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