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기술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교육 유용한 농업정보 알아보자

우리마을 텃밭교육쉼터 교육부통령 2022. 6. 28. 10:00
반응형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교육사업을 탐색해보고, 체류형 농업창업지원 정보를 알아보자. 귀농인 지원사업을 질의응답을 통해 알아보며, 성공적인 귀농귀촌 준비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2022년 성공귀농 행복귀촌 박람회에서 소개하는 자료를 근거로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을 고려하는 분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소개하고자 한다.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교육사업을 탐색해보자.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교육사업 4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체류형 농업창업 지원센터 운영사업이다. 고창군으로 이주하여 농업을 하고자 하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체류시설을 제공하고, 기초영농 기술교육과 고창지역 이해교육을 실시하고, 안정적인 고창군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한 교육프로그램이다. 체류시설 30세대, 영농교육관, 창업농 교육관, 개인별 텃밭(분양), 공동실습 하우스 등의 교육시설이 있다.

 

둘째 새내기 농업학교 운영사업이다. 예비 귀농인 및 새내기 귀농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영농이론 및 실습, 지역 적응교육 등 교육프로그램 운영(3월 ~ 11월 사이에 연간 100시간)한다. 셋째 품목별 교육 운영사업이다. 농업 외의 다양한 분야의 소득원 발굴로 새로운 수입원 창출을 위한 교육을 추진한다. 세 가지 사업 모두 교육장소는 고창군 부안면 복분자로 568이며, 신청 문의처는 농업기술센터 체류형창업팀이다. 서울 방배동에 있는 수도권 홍보관에서는 예비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정책 홍보 및 상담을 추진하고 있다.

 

넷째 온라인 교육은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전북 귀농귀촌 지원센터, 농업교육포털을 이용하고, 오프라인은 전북 농식품 인력개발원과 귀농귀촌 종합센터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니, 적극 활용해보시길 바란다.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체류형 농업창업지원 정보를 알아보자.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는 전북 고창군 부안면 복분자로 568에 위치하며, 부지는 23,999제곱미터의 면적이다. 주요시설로는 주택 30호(단독형 10호, 공동형 20호), 교육시설 2동, 공동체 실습 하우스, 농기계 창고, 세대별 텃밭 등이 주요 시설이다. 가족과 함께 고창으로 귀농귀촌하여 농업 창업을 통해 제2의 인생 설계를 준비하고자 하는 도시민을 교육대상으로 한다. 교육인원은 30세대이며, 교육시간은 매년 3월~12월에 있고, 교육내용은 귀농귀촌 교육, 기초 영농교육, 현장실습 등 농업창업교육이다. 교육비는 주택면적에 따라 매월 19만 원 ~ 27만 원이다.

 

표 1.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체류형 주택 모집수, 입교 주택면적 및 입교조건

주택구분 모집수 입교주택면적(제곱미터) 입교조건(원)
주택 공동체
하우스
세대별
텃밭
합계 월 교육비 보증금 비고
공동주택 18평 12호 61 33 66내외 160 238,000 1,190,000 -
15평 8호 49 33 66내외 148 192,0000 960,000 -
단독주택
(별동)
20평 2호 68 33 66내외 167 274,000 1,370,000 -
단독주택 16평 8호 54 33 66내외 153 211,100 1,055,000 -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귀농인 지원사업 질의응답 공부해보자.

질문 1. 서울시에서 부안군으로 전입한 후 한 달 전에 고창군으로 전입했다. 지원이 가능한가? 답변 1. 고창군 이외의 도시지역(OO시 OO동)에서 1년 이상 거주한 경우 지원 가능하므로 부안군에서 고창군으로 전입하신 경우 지원 불가하다. (단, 농림부 귀농인 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의 경우 최초 전입일 5년 이내이므로 최초 전입일을 기준으로 지원이 가능하다)

 

질문 2. 올해 만 67세이다. 배우자는 아직 만 60세인 경우 지원이 가능한가? 답변 2. 지원사업 대상은 세대주를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세대주가 배우자인 경우 지원이 가능하다. (단, 사업 신청자와 세대주가 동일하여야 지원 가능하다.)

 

질문 3. 귀농인 농가주택수리비 지원사업의 경우 세대주 명의의 주택만 가능한가? 답변 3. 지원사업 대상은 세대주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수리하려는 주택의 명의가 세대주여야 가능하다. (단, 5년 이상 임대차 계약을 한 주택은 지원이 가능하다.)

 

질문 4. 건축물대장이 없는 농가주택의 경우 수리비 지원이 가능한가? 답변 4. 미등재 건물은 수리비 지원이 불가능하다. (단, 재산세 납부내역으로 건물에 대한 증빙이 가능한 경우 가능)

 

질문 5. 작년에 주택수리를 완료했다. 전입한 지 5년이 안되었으니 지원이 가능한가? 답변 5. 사전 신청이 필요한 수리비의 경우 대상자 확정 전 이미 완료한 사업은 지원 불가하다.

높을 고창군 귀농귀촌 성공적인 귀농귀촌 준비 이렇게 해보자.

첫째 철저한 사전 준비로 귀농귀촌 후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살 것인지 정하세요. 사전에 귀농귀촌 자원 부서나 선배 귀농인 등을 방문하여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한 후 토지 구입은 나중에 하시는 게 좋다. 둘째 가족과 충분한 협의, 농촌으로 내려가고자 할 때는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족들과 충분히 의논한 후 합의해야 한다. 가족들의 동의와 협조 없이는 전원생활이 오래가지 못한다. 셋째 충분한 예행연습이 필요하다. 농가 방문이나 농촌 홈스테이 등을 통해 사전에 농촌생활을 경험해보고, 귀농귀촌학교 등을 통해 영농기술을 습득하거나 영농현장에서 일정기간 체험과 실습을 해보시는 것이 좋다.

 

넷째 욕심은 금물이다. 본인의 재정상태와 여유자금을 감안하지 않은 무리한 토지 구입이나 주택 신축은 자제하고, 재경 계획은 신중하게 수립하자. 처음부터 큰 집을 짓는 것보다 시골집을 빌려 사는 것도 좋다. 처음부터 과도한 욕심, 지나친 투자는 금물이다. 다섯째 불편함을 여유로 받아들이자. 막연한 동경이나 낭만적인 생각으로 시골에 오면 실패가 쉽다. 시골의 불편함을 여유로 알고 즐길 수 있는 마음자세가 필요하다. 여섯째 열린 마음을 갖자.

 

시골마을의 정서를 이해하고 마을의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 농촌은 도시와 달리 기쁨과 어려움을 함께하는 공동체 의식이 강하다. 이웃에 먼저 마음을 열고 다가가세요. 서로 이해하고 화합하며 어울려 사는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 일곱째 성공적인 정착과 농촌생활: 본인의 여건에 맞는 작목을 선택하고, 또한 그 작목에 맞는 토질을 갖춘 토지를 구입하자. 작물은 좋아하는 땅이 제각각 다르다.

 

작목을 선택한 후에는 농업기술센터에서 실시하는 귀농교육 프로그램이나 선도농업인 견학 등을 통해 충분히 영농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작목 선택이 어려울 때는 먼저 귀농교육을 받으면서 천천히 작목을 선택하셔도 좋다. 끝으로 합리적으로 치밀하게 영농계획을 세워야 한다. 농산물을 생산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는 최소 4개월에서 길게는 4~5년이 소요된다. 농사는 단거리 경주가 아닌 장거리 마라톤임을 기억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