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험대비를 위해 교재 중심으로 정리를 하고자 한다.
치유농업개론에서는 치유농업의 이해, 치유농업 정책과 제도, 치유농업 사례에 대해서 알아본다.
학습목표 1. 치유농업의 개념과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2. 치유농업 정책과 관련 법률을 이해한다. 3. 국내외에서 추진되고 있는 치유농업 사례를 파악할 수 있다. |
I. 치유농업의 이해
1. 치유농업의 개념
치유농업이란?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농업활동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의 유지•회복•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활동.
가. 치유농업의 역사
중세시대 유럽의 병원에서는 정원을 가꾸거나 소규모의 텃밭을 조성하여 환자들의 재활에 활용하였다.
치유농업의 형태는 국가나 사회발전 단계에 따라 다양하다. 현대적 의미의 치유농업의 출현은 1960년대 초기이다.
특히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캠프힐 운동(Camphill movement)의 영향을 통해 치유 목적의 공동체가 많은 인기를 누렸으며 장애인들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젝트를 여러 개 만들어 멘토와 전문 치료사들이 주간에 지도하는 형태로 운영하였다.
Tip. 치유농업의 역사
-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요양원에서 시작되었다.
- 미국: 벤자민 러쉬 1812년 (저서: 마음의 질병) - 원예활동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언급
- 네덜란드: 농장의 규모가 작고 가족농장이 많은 네덜란드. 1999년 국가지원센터를 통해 본격적인 치유농업이 시작되었다. 1997년 75개였던 치유농장이 2010년 1,000여개로 급증하였다.
나. 치유농업의 영역
1) Green care
2) 치유농업과 도시농업, 사회적 농업 간의 관계
다. 치유농업의 개념
#치유농업 #치유농업시설 #치유농업서비스 #치유농업사 #Greencare
반응형
'치유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치유농업의 가치 (1권 p.15) (1) | 2024.08.09 |
---|---|
치유농업사 시행령이 바뀌었습니다. (2024. 06. 10.) (0) | 2024.07.27 |
치유농업사가 되기 위해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 (0) | 2024.06.03 |
양봉기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0.04 |
도시농업과 도시농업관리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8.31 |